현시선호이론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시선호이론의 기본가정 현시선호관계 쌀과 옷 가격이 Px0, Py0로 각각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소비자가 Q0 = (x0,yo)라는 상품묶음을 구입하는 것이 관찰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이 상황에서 또 하나의 상품묶음 Q1 = (x1, y1)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도 Q0를 선택했다면, 그는 Q1보다 Q0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 Q1도 선택할 수 있었다는 것은 소비자가 가진 소득으로 이를 구입할 수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Px0x0 + Py0y0 ≥ Px0x1 + Py0y1 이 식은 주어진 가격하에서 Q1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지출이 Q0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지출보다 크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렇게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기만 했다면 Q1도 충분히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현시선호관계: P0라는.. 더보기 현시선호이론 전통적 소비자이론은 소비자의 선호체계에 대한 일련의 가정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선호체계에 이행성이 있다느니 혹은 연속성이 있다느니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가정일 뿐, 정말로 그런지의 여부는 아무도 알 수 없는 일이다. 이렇게 알지 못하는 선호체게에 대한 가정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는 사실이 전통적 소비자이론의 큰 약점이라고 생각 될 수 있다. 만약 가정의 타당성에 문제가 있다면 그로부터 도출된 이론의 전체체계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문제점을 갖지 않는 새로운 소비자이론을 찾으려는 시도에서 나온 것이 바로 현시선호이론(revealed preference theory)이다. 이 이론은 시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소비자의 구체적 선택행위에서 논의를 출발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전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