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대체율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비자의 효용극대화 소비자 선호체계와 예산제약에 관한 논의를 통합시켜 소비자의 효용극대화가 달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효용극대화의 조건 효용극대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는 가능하면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무차별곡선 위의 한점을 선택하고 싶어한다. 그러나 예산제약 때문에 예산선 위나 그 안쪽에 있는 점들만을 선택할 수 있을 뿐, 그 바깥에 있는 점들은 선택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그림에서 보는 네 개의 점들(C, D, E, F)중 가장 높은 효용을 주는 F점은 예산선 밖에 위치해 있어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C점을 선택한다면 소득 중 일부를 쓰지 않고 버린다는 뜻인데, 이렇게 해서는 결코 효용이 극대화될 수 없다. 결국 선택은 예산선 위의 점들인 D점과 E점 사이로 압축되는데, E점이 i3로 표시된 무차별곡선 위에 있.. 더보기 한계대체율 그림에 나타나 있는 무차별곡선 위의 한 점 C가 의미하는 상품묶음을 보면 이 묶음에서 Δy만큼의 옷을 덜어내고 그 대신 Δx만큼의 쌀을 더 넣어 C' 이라는 상품묶음을 만든다면 소비자는 C에서 얻던 것과 똑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다. C점과 C'점이 모두 똑같은 무차별곡선 위에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소비자가 느끼기에 Δy만큼의 옷과 Δx만큼의 쌀이 맞바꾸어져도 무방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 두 상품 사이의 주관적 교환비율(marginal rate of substitutuion); MRS)이라고 부른다. 만약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아주 짧아 Δx의 절대값이 거의 0에 가깝다면 Δy/Δx는 C점에서 잰 무차별곡선의 기울기와 같아진다. 그런데 지금 보는 것처럼 주어진 무차별곡선 위에..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