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재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가격 변화의 두 가지 의미 가격 변화의 효과를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해 보면, 이로 인해 생기는 수요량의 변화가 두 가지 상이한 효과의 합작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어떤 상품 가격에 생긴 변화가 소비자에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내렸다면 이것이 소비자에게 주는 하나의 의미는 쌀이 옷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졌다는 것이며, 또 다른 의미는 이로 인해 소비자의 잠재적 소득 혹은 실질소득(real income)이 종전보다 더욱 커졌다는 것이 된다. 가격 하락이 왜 실질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지를 이해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만약 쌀 가격이 떨어졌다면 전에 산 것과 똑같은 상품묶음을 산다 해도 예전보다 더 작은 지출만 필요하게 된다. 따라.. 더보기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소득의 변화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 소득의 증가는 보통의 경우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의 양이 더 많아지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언제나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그 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소득의 증가가 상품 구입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경우에도 그 상품이 어떤 성격을 가졌느냐에 따라 구입량 증가의 반응 정도가 달라진다. 가격의 변화 없이 소득만 변화하는 경우를 예산선의 평행이동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을 보면 소득이 M1→M2 →M3로 늘어감에 따라 효용극대화 점이 E1 → E2 → E3로 움직여 나가는 것을 알게 된다. 이 효용극대화 점들이 그리는 궤적을 소득소비곡선(income consumption curve)이라고 부.. 더보기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탄력성은 각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내준다. A의 B탄력성(B elasticity of A)이라고 하는 것은, B라는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종속변수 A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A와 B의 상이한 조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탄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은 상품 가격에 작은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 변화율의 상대적 크기로 측정된다. ex) 1%의 가격 상승이 수요량을 3%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3이 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식 ΔP와 ΔQd는 그 크기가 아주 작은 것으로 가정되는 가격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