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효과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비자이론의 응용 노동 공급에 관한 결정 어떤 대표적인 노동자가 직면하고 있는 선택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묘사해보기로 하자. 그는 하루 24시간 중 10시간은 먹고 자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라 생각하여 따로 떼어 놓고, 나머지 14시간 만을 경제적 선택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의 선택은 이 14시간을 두 가지 일, 즉 노동을 함으로써 소득을 얻는 일과 여가로 사용하여 즐거움을 누리는 일 사이에서 어떻게 나누어 쓸 것인지에 관한 결정을 뜻한다. 우리가 이 선택에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그 선택의 결과로 얼마만큼의 노동을 공급할 것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소득을 얻기 위한 노동에 쓰인 시간을 H라 하고 여가에 쓰인 시간을 L이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H + L = 14 그의 시간당 임금률이 w0로.. 더보기 대체효과와 소득효과 가격 변화의 두 가지 의미 가격 변화의 효과를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해 보면, 이로 인해 생기는 수요량의 변화가 두 가지 상이한 효과의 합작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어떤 상품 가격에 생긴 변화가 소비자에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쌀 가격이 내렸다면 이것이 소비자에게 주는 하나의 의미는 쌀이 옷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졌다는 것이며, 또 다른 의미는 이로 인해 소비자의 잠재적 소득 혹은 실질소득(real income)이 종전보다 더욱 커졌다는 것이 된다. 가격 하락이 왜 실질소득의 증가로 이어지는지를 이해하기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만약 쌀 가격이 떨어졌다면 전에 산 것과 똑같은 상품묶음을 산다 해도 예전보다 더 작은 지출만 필요하게 된다. 따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