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적 안정성

균형의 안정성(2) 경제학에서 동적(dynamic)인 모형을 논의할 때에는 항상 시간이라는 요소가 개입된다. 그리고 이 시간을 연속적(continuous)인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고 단속적(discrete)인 것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분석의 편의를 위해 한달 혹은 일년 같은 기간(period)의 단위로 묶어서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간을 단속적인 것으로 파악한다고 말한다. 이 단속적인 시간의 개념에 입각한 동적 안정성의 모형을 설명한다. 거미집모형의 의미 마늘, 고추 등 농작물의 경우가 이와 비슷한 경우라고 말할 수 있다. 한 해의 마늘 생산량, 즉 공급량은 일정한 수준으로 주어져 있기 때문에, 공급량을 변동시키고 싶다면 그 다음 해에서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공급량의 반응이 한 기 뒤쳐져서 나타날 수 밖.. 더보기
균형의 안정성 균형의 안정성은 어떤 교란요인으로 인해 균형에서 이탈되었을 때 원래의 균형으로 다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느냐의 여부로 판가름 난다. 다시 말해 원래의 균형으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을 때 그 균형은 안정적이며, 돌아오려는 경향이 없고 오히려 계속 멀어지려 하면 불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만 운동의 방향만을 가지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하는 반면,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는 균형으로 돌아가거나 그것에서 멀어지는 시간경로(time path) 전체에 관심을 갖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한다.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 정적 안정성은 조정과정의 성격에 따라 다시 '왈라스적 안정성'과 '마샬적 안정성'의 두 가지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