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곡선 썸네일형 리스트형 균형분석의 응용 물품세 부과의 효과 어떤 물건에 물품세(excise tax)를 부과했을 때 생기는 경제적 효과는 여러측면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세금을 포함한 가격과 시장에서의 거래량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도 관심의 대상이려니와, 세금 부담이 그 상품을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사이에서 어떻게 분배되느냐도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정부가 휴대폰 1대당 5만원의 물품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휴대폰의 공급자가 그 세금을 내게끔 되어 있다고 하면, 이 물품세의 부과는 휴대폰의 공급곡선을 5만원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물품세를 내야 하는 공급자가 종전에 받던 가격에 5만원을 더 얹어서 팔려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금 부과 후의 공급곡선은 아래 그림처럼 원래의 공급곡선을 5만원에 해당하.. 더보기 수요곡선 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수요곡선 위의 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시장수요곡선은 어떤 상품의 각 가격에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수요자들이 얼마만큼씩 수요하게 될 것인지를 보여준다. 그림에서 보듯, 그 상품의 가격이 P0에서 P1로 내려가면 수요량은 Q1에서 Q2로 증가한다. 이 변화는 가격 하락의 결과 우하향하는 수요곡선 위의 a점에서 b점으로 움직여 갔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다. 즉 가격의 변화는 수요곡선 위의 운동(movement along the demand curve)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위에 곡선은 커피에 대한 시장수요를 나타내는 곡선인데, 소비자의 소득수준(M)이 올라갔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소득수준 상승은 커피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것인데, 이는 커피의 모든 가격에 대해 수요량이 종전보다 더 커진다는 뜻이다. .. 더보기 시장수요 시장수요곡선 수요의 결정요인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의 양을 결정하는데 여러 경제변수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고려 대상이 되고 있는 바로 그 상품의 가격(P)이다. 일반적으로말해 다른 모든 조건이 똑같다고 할 때, 그 상품의 가격이 높아지면 사람들은 더 적은 양을 수요하게 되고, 반대로 가격이 낮아지면, 더 많은 양을 수요하게 된다. 물론 예외도 있을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는 현실에서 상당히 빈번하게 관찰된다. 하여 이를 수요의 법칙(law of demand)이라고 부른다. 또한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는 그 자신의 가격뿐 아니라 그 상품과 관련이 있는 다른 상품들의 가격(Pr)에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귤 값의 하락이 오렌지에 대한.. 더보기 최적화와 균형 모든 경제적 문제는 최적화(optimization) 혹은 균형(equilibrium) 중 하나의 문제로 귀착된다. 최적화라는 것은 경제주체, 즉 의사결정자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며, 자신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서 생겨난다. 따라서 최적화는 의사결정자의 합리성을 전제해야 비로소 의미를 갖는 개념이다. 이에 비해 균형은 시장에서 경제주체들이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 데서 나오는 현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장에 표출된 상반된 힘이 맞아떨어진 상태를 균형이라고 부르며, 여기에서 우리가 관심을 갖는 많은 경제 현상들이 파생되어 나온다. 합리성 경제학이 설정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가정 중의 하나는 모든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합리성의 가정이 유용한 예측을..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