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산선

불확실성하에서의 선택(3) 등기대차선 지금 보는 내기에서 김 씨가 장미를 뽑아 돈을 딸 확률과 민들레를 뽑아 돈을 잃을 확률은 각각 1/3, 2/3로 주어져 있는 셈이다. 카드 뽑기를 무수히 많이 반복할 때 이와 같은 비율로 장미와 민들레가 나올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사실에 입각해 특정한 선택이 의미하는 시장바구니의 기대치(expected value)를 구할 수 있다. 김 씨가 돈을 전혀 걸지 않았을 경우 시장바구니의 기대치는 물론 10만원이다. 만약 3만원을 걸었다면 Cr = 13만원, Cd = 7만원이므로 다음과 같이 기대치를 계산할 수 있다. (1/3 x 13만원) + (2/3 x 7만원) = 9만원 이와 같이 3만원을 걸었을 때의 기대치가 아무것도 걸지 않았을 때의 기대치보다 더 작은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이 .. 더보기
불확실성하에서의 선택(2) 예산선 내기의 제의를 받은 김 씨는 그가 갖고 잇는 10만원의 범위 안에서 얼마를 걸 것인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그림은 이와 같은 그의 선택가능성을 조건부상품의 틀로 바꾸어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에서 수평축은 장미를 뽑았을 때의 시장바구니(Cr)를, 그리고 수직축은 민들레를 뽑았을 때의 시장바구니(Cd)를 대표하고 있다. F점은 그가 전혀 돈을 걸지 않았을 경우 어느 카드를 뽑든 10만원어치의 시장바구니를 들고 가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이 점은 그의 초기부존(initial endowment)을 대표한다고 말할 수 있다. 김 씨가 3만원을 걸기로 작정한 경우, Cr = 13만원, Cd = 7만원이 되므로 그의 선택은 G점으로 대표될 수 있다. 그리고 Cr = 20만원, .. 더보기
현시선호이론의 기본가정 현시선호관계 쌀과 옷 가격이 Px0, Py0로 각각 주어진 상황에서 어떤 소비자가 Q0 = (x0,yo)라는 상품묶음을 구입하는 것이 관찰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이 상황에서 또 하나의 상품묶음 Q1 = (x1, y1)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도 Q0를 선택했다면, 그는 Q1보다 Q0을 더욱 선호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에서 Q1도 선택할 수 있었다는 것은 소비자가 가진 소득으로 이를 구입할 수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Px0x0 + Py0y0 ≥ Px0x1 + Py0y1 이 식은 주어진 가격하에서 Q1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지출이 Q0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지출보다 크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렇게 때문에 소비자가 원하기만 했다면 Q1도 충분히 선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현시선호관계: P0라는.. 더보기
현금보조와 가격보조 현금으로 보조해 주는 경우와 가격보조를 제공하는 경우, 즉 특정한 물건의 가격을 할인해 주는 형태로 보조를 제공하는 경우를 비교한다. 애당초 소비자는 그림에서 보는 선분 AB를 예산선으로 갖고 있는데, 쌀에 가격보조를 해준다고 하자. 이는 쌀 가격의 실질적 하락을 의미하므로 예산선은 선분 AG로 회전하고, 그는 E'점을 선택하게 된다. 우선 이 가격보조를 통해 소비자에게 실질적으로 지급되는 보조금의 크기를 알아내고, 이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금으로 보조하는 방식을 취할 경우 상황이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 봄으로써 이 두 방식을 비교할 수 있다. 가격보조하에서 실제로 지급되는 보조금의 크기는 소비자가 예산선(선분AG)위의 어떤 점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그림에는 E'점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더보기
사회복지 제도의 분석 사회복지제도를 통해 가난한 사람을 돕는 것은 여러 가지 구체적 형태로 행해질 수 있다. 첫 번째로 생각할 수 있는 도움의 형태는 현금보조(cash transfer)를 통해 그들의 구매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며, 두 번째로는 가난한 사람들이 절실하게 필요로 한다고 생각되는 식료품 같은 재화를 현물 보조(in-kind transfer)의 형태로 지급해 주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필수적으로 구입하는 물건들에 대해 가격 할인의 혜택, 즉 가격보조(price subsidy)를 해주는 방법도 있다. 어느 보조방식을 쓰든 이 사업에 쓸 수 있는 정부의 예산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예산의 크기를 일정하게 통제함으로써 각 보조방식의 차이를 분명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현금.. 더보기
소비자이론의 응용 노동 공급에 관한 결정 어떤 대표적인 노동자가 직면하고 있는 선택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묘사해보기로 하자. 그는 하루 24시간 중 10시간은 먹고 자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라 생각하여 따로 떼어 놓고, 나머지 14시간 만을 경제적 선택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의 선택은 이 14시간을 두 가지 일, 즉 노동을 함으로써 소득을 얻는 일과 여가로 사용하여 즐거움을 누리는 일 사이에서 어떻게 나누어 쓸 것인지에 관한 결정을 뜻한다. 우리가 이 선택에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그 선택의 결과로 얼마만큼의 노동을 공급할 것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소득을 얻기 위한 노동에 쓰인 시간을 H라 하고 여가에 쓰인 시간을 L이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H + L = 14 그의 시간당 임금률이 w0로.. 더보기
예산제약(2) 소득과 가격의 변화와 예산선 소득의 변화 두 상품의 가격은 그대로 머물러 있는데 소득만 M에서 M'으로 증가한다면 예산선에는 어떤 변화가 올까? 이 경우 예산선은 평행이동을 통해 원점에서 더욱 먼 위치로 움직여 간다. 두 상품 사이의 가격비율과 같은 값을 갖는 예산선의 기울기에는 아무 변화도 생기지 않고, 단지 x,y 축상의 절편이 소득의 증가비율만큼 더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소득이 감소하면 예산선은 안쪽으로 평행이동해 원점 쪽으로 움직여 가게 된다. 가격의 변화 소득이나 옷 가격에는 변화가 없고, 쌀 가격만 Px에서 Px'으로 올라가는 경우를 생각해본다. 이때 예산선은 y축상의 절편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바늘의 방향, 즉 안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소득과 옷 가격에 변화가 없으므로 y축상의 절편.. 더보기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제약 예산선 경제학은 인간의 욕망이 무한한 데 비해 경제적 자원에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에 그 출발점을 두고 있다. 여기 분석 대상이 되는 소비자도 이와 같은 현실에서 예외가 될 수 없는데, 구체적으로 그가 처해 잇는 제약은 상품을 구입하는데 지출될 수 있는 소득이 일정한 크기로 주어져 있다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소비자의 예산제약(budget constraint)을 다으모가 같이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대표적 소비자를 한 사람 설정해놓고, 그의 한 달 소득이 M원이라고 가정한다. 이 소득을 가지고 한 달 동안 소비할 쌀(X)과 옷(Y)을 구입하게 된다. 시장에서 쌀과 옷의 가격이 각각 Px, Py로 주어져 있고 그의 쌀과 옷 구입량이 각각 x,y라고 한다면, 그가 이 상품들의 구입에 사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