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회비용

소비자이론의 응용 노동 공급에 관한 결정 어떤 대표적인 노동자가 직면하고 있는 선택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묘사해보기로 하자. 그는 하루 24시간 중 10시간은 먹고 자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라 생각하여 따로 떼어 놓고, 나머지 14시간 만을 경제적 선택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의 선택은 이 14시간을 두 가지 일, 즉 노동을 함으로써 소득을 얻는 일과 여가로 사용하여 즐거움을 누리는 일 사이에서 어떻게 나누어 쓸 것인지에 관한 결정을 뜻한다. 우리가 이 선택에 관심을 갖는 것은 바로 그 선택의 결과로 얼마만큼의 노동을 공급할 것인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소득을 얻기 위한 노동에 쓰인 시간을 H라 하고 여가에 쓰인 시간을 L이라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H + L = 14 그의 시간당 임금률이 w0로.. 더보기
가격규제의 효과 어떤 상품의 가격이 너무 높다든가 낮다고 들을 때가 많지만, 가격이 그 수준에서 결정되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정치적 혹은 다른 이유로 '시장의 힘'과 대결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다. 가격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가격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는 것을 막는 가격상한제(price ceiling)와 그 반대로 가격이 일정한 수준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막는 가격하한제(price floor)의 두가지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가격상한제의 효과 가격상한제를 실시했을 때의 상황이다. 모든 일을 자유로운 시장의 힘에 맡기면 P*의 가격에서 Q*만큼의 물건이 거래되는 결과가 나타난다. 그런데 가격이 너무 높다고 사람들이 불평하자 정부는 가격상한제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즉 상한가를 고시.. 더보기
경제학이란 경제학이란? 쉽게 말해 희소한 경제적 자원을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된 학문이다. 인간이라면 멋진 옷 예쁜 옷을 입고, 몸에 좋고 비싼 음식을 먹으며, 안락하고 멋진 집에서 살기를 원한다. 모든 사람이 물질에 욕심을 내는 건 아니지만, 사람이 사는 사회 전체를 놓고 보면, 물질에 대한 끝없는 욕망으로 가득 차 있다. 이처럼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은 큰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경제적 자원(economic resources)은 정말로 한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든 개인이 원하는 만큼 마음껏 소비한다는 것은 꿈에서나 가능한, 실현 불가능한 이야기다. 경제학은 이 냉정한 현실에서 그 출발점을 찾고 있다. 경제학을 연구하는 목적은 한정된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해 좀더 큰 물질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