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학

균형의 안정성 균형의 안정성은 어떤 교란요인으로 인해 균형에서 이탈되었을 때 원래의 균형으로 다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느냐의 여부로 판가름 난다. 다시 말해 원래의 균형으로 돌아오려는 경향이 있을 때 그 균형은 안정적이며, 돌아오려는 경향이 없고 오히려 계속 멀어지려 하면 불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만 운동의 방향만을 가지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하는 반면,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는 균형으로 돌아가거나 그것에서 멀어지는 시간경로(time path) 전체에 관심을 갖고 안정성 여부를 고찰한다. 정적 안정성(static stability) 정적 안정성은 조정과정의 성격에 따라 다시 '왈라스적 안정성'과 '마샬적 안정성'의 두 가지로.. 더보기
시장균형 균형가격 어떤 상품시장에서의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이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주어진 상황에서 그 상품의 시장가격이 P1으로 정해졌다면 시장에서는 무슨일이 일어날 것 인가? 기업들은 Qs1만틈의 상품을공급하려고 하는데, 소비자들은 Qd1만큼만 수요하려고 할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장에는 팔고자 하는 상품 중 일부가 팔리지 않는 초과공급(excess supply)의 상태가 나타난다. 초과공급의 존재는 가격을 P1의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하는 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른 교란요인이 없어도 가격이 현재의 수준에 머물러 있을 수 없다. 이와 반대로 P2같이 너무 낮은 가격하에서는 초과수요(excess demand)가 발생해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어떤 가격하에서 초과공급이나 초과수요가 존재하면 시장은 균형.. 더보기
시장공급 시장공급곡선 기업이 공급하고자 하는 상품의 양에 대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그 상품의 가격(P)이다. 또한 공급되는 양은 그 상품의 생산에 투입되는 생산요소의 가격(w), 생산기술(H), 공급자의 수(C), 미래에 대한 기대(E)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시장공급함수 안에서 공급량(Qs)의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인 가격의 변화만을 허용하고 나머지 변수들은 일단 불변인 것으로 가정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Qs = g(P; w, H, C, E) 이 시장공급함수를 그림으로 옮겨놓으면 시장공급곡선(market supply curve)이 되는데, 보통의 경우 우상향하는 모양을 갖는다. 이는 상품의 가격이 올라갈 때 기업이 더 많은 양의 상품을 공급하고자 한다는 것을 뜻하는데, 기업이 생산량.. 더보기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탄력성은 각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수요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내준다. A의 B탄력성(B elasticity of A)이라고 하는 것은, B라는 독립변수의 변화에 대해 종속변수 A가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A와 B의 상이한 조합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탄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은 상품 가격에 작은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율에 대한 수요량 변화율의 상대적 크기로 측정된다. ex) 1%의 가격 상승이 수요량을 3%만큼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면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3이 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 식 ΔP와 ΔQd는 그 크기가 아주 작은 것으로 가정되는 가격과.. 더보기
수요곡선 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수요곡선 위의 운동과 수요곡선의 이동 시장수요곡선은 어떤 상품의 각 가격에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수요자들이 얼마만큼씩 수요하게 될 것인지를 보여준다. 그림에서 보듯, 그 상품의 가격이 P0에서 P1로 내려가면 수요량은 Q1에서 Q2로 증가한다. 이 변화는 가격 하락의 결과 우하향하는 수요곡선 위의 a점에서 b점으로 움직여 갔기 때문에 나타나게 된다. 즉 가격의 변화는 수요곡선 위의 운동(movement along the demand curve)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위에 곡선은 커피에 대한 시장수요를 나타내는 곡선인데, 소비자의 소득수준(M)이 올라갔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소득수준 상승은 커피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킬 것인데, 이는 커피의 모든 가격에 대해 수요량이 종전보다 더 커진다는 뜻이다. .. 더보기
시장과 수요 공급 시장에는 한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 공통점이란, 상품을 사고자 하는 사람과 팔고자 하는 사람 사이의 교환이 바로 그것들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시장이라는 표현은 눈에 보이는 장소가 아니더라도 상품을 사려는 사람들과 팔려는 사람들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하면 이를 가리켜 시장이라고 부를 수 있다. 어떤 상품을 사려는 의지와 팔려는 의지는 각각 상반된 힘으로 시장에 표출된다. 가격은 이 두 상반된 힘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하며, 혹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기도 한다. 특히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가격이 일단 결정되면 그 자리에 그대로 머물러 있으려 하는 경향이 나타나는 경우다. 두 힘이 균형을 이루었을 때 형성되는 가격을 균형가격(e.. 더보기
최적화와 균형 모든 경제적 문제는 최적화(optimization) 혹은 균형(equilibrium) 중 하나의 문제로 귀착된다. 최적화라는 것은 경제주체, 즉 의사결정자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며, 자신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서 생겨난다. 따라서 최적화는 의사결정자의 합리성을 전제해야 비로소 의미를 갖는 개념이다. 이에 비해 균형은 시장에서 경제주체들이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 데서 나오는 현상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시장에 표출된 상반된 힘이 맞아떨어진 상태를 균형이라고 부르며, 여기에서 우리가 관심을 갖는 많은 경제 현상들이 파생되어 나온다. 합리성 경제학이 설정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가정 중의 하나는 모든 경제주체가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합리성의 가정이 유용한 예측을.. 더보기
경제학의 방법론 경제학은 사회과학(social science)의 한 분야다. 따라서 경제학은 사회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둘러싸고 사람들이 어떤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주요한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는 현실의 경제현상에서 수많은 개별적인 사실들과 접하게 된다. 이런 개별적 사실에서 어떤 질서를 찾고 이에 따라 그들을 의미있는 방법으로 배열하기 위해서는 이론화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이론화의 작업을 어떻게 수행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바로 방법론(methodology)이다. 경제모형 복잡한 사회 모습 그대로를 가지고는 아무런 체계적 질서도 파악할 수 없으며, 기껏해야 사물의 단편적인 이해만이 가능할 뿐이다. 현실세계의 복잡성을 추상화해 개별적 사실들을 통괄하는 질서를 파악할 수 있는 단순성.. 더보기